헤드라인 HEADLINE
대청로 상징거리〈 대청로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 일대가 살아난다
대청로 상징거리〈 대청로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 일대가 살아난다 중구는 2019년까지 69억 5600만 원(국비 32억 5000만 원, 지방비 37억 600만 원)을 투입해 대청로에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조성 1단계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청로 임시수도 상징거리는 임시수도기념관에서 수미르공원까지 약 1800곟 구간이다. 대청로 주변은 한때 미문화원으로 사용됐던 부산근대역사관, 독립자금을 대줬던 백산 안희제 선생이 운영했던 백산상회, 보수동 책방골목, 국제시장, 용두산공원, 부평시장 등 근현대사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2010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도시상징 대표 거리 대상사업'에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조성사업을 선정했다. 대청로 원도심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조성사업은 임시수도거리 기능회복사업, 공영주차장 앞 가로 정비사업, 임시수도 파사드(건축물의 주된 출입구가 있는 정면부) 정비사업, 부산 근현대 미니어처 광장 조성사업, 용두산 아트힐 창조사업, 지역생활거점 문화창의사업, 하수관거 정비사업 등 7개 사업이다. 2014년 3월 1단계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문화오름길 조성사업을 끝냈다. 국제시장 사거리에서 부산우체국까지 680곟 구간의 임시수도거리 기능 회복과 하수시설 정비사업을 지난해 마쳤다. 임시수도거리 기능회복사업을 통해 대청로 근대역사가로를 지역성과 시대적 배경을 담아 근대적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거리로 꾸몄고, 용두산 공영주차장 앞 가로도 새 단장했다. 용두산 아트힐 창조사업으로 중앙성당 사잇길 공사를 완료했다. 스텝가든 및 문화오름길 조성과 더불어 차도와 보도 구분이 없던 용두산공원 산책길을 전망대와 데크길로 꾸민 아트힐 문화공간 형성사업을 지난 2월에 마무리했다. 대청로에서 용두산으로 오르는 가로변(130곟)은 차로를 줄이고 보도를 넓혀 시민과 관광객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부평동 임분옥 씨는 "남편과 저녁 7시마다 용두산공원을 산책하는데 인도가 따로 없고, 저녁이면 조명이 어두워 불편했다. 하지만 이렇게 데크로 멋진 산책로가 만들어져 공원을 이용하기 좋아졌다"고 말했다. 올해는 용두산공원 내 구)노인복지회관 건물을 활용하여 지역생활거점 문화창의사업을 추진한다. 지역생활거점 문화창의사업은 용두산 아트힐 창조사업과 연계하여 대청로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를 활성화하고 예술문화 교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문화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또 부산근대역사관 옆 부지(416㎡)를 활용한 근현대 미니어처 광장 조성과 대청로 가로변 건물을 활용한 임시수도 파사드 정비사업도 관계기관 및 주민 협의 등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문의 ▶창조건축과 600-4621  

제 498호

2018년 03월 (최종편집시간 : 2018.03.25)

열린구정

더보기

종합

희귀수목 `박달목서 시민의 품으로 희귀수목 `박달목서 시민의 품으로 중구는 개발사업장 내 벌목 위기에 처한 희귀수목 `박달목서'를 많은 시민들이 볼 수 있도록 해운대수목원으로 이식했다. 보수동 중부산세무서 개발사업장 현장 감독을 하던 안전도시과 녹지팀 배지한 주무관이 `박달목서'를 발견했다. 그는 현장에서 본 나무가 부산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수종이라 생각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구했으며, 그 결과 희귀수목인 `박달목서'라는 걸 알게 됐다. 박달목서는 물푸레나무과로 높이는 15곟 지름은 1곟까지 자란다. 국내에는 제주도, 가거도, 거문도 등 일부지역에 소수 개체가 생육한다. 우리나라 자생식물 중 희귀한 식물에 속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아주 높은 나무다. 산림청은 1998년부터 희귀식물로 지정했고, 환경부는 2005년 2급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이후 2012년 해제되기는 했지만 아직도 개체수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국제사회의 생물다양성보존 전략에 대응하여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의 희귀식물 평가기준에 따라 박달나무는 EN(위기종)에 포함된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산림보존과 김동갑 박사는 "박달목서가 어느 시점에 누구에 의해 식재되었는지 불분명하지만, 식물의 전시기능과 보존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목원, 식물원 등에 이식하여 보존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밝혔다. 이에 중구는 발견한 박달목서의 유전자원확보를 위해 해운대수목원으로 보내 관리하게 했다. 구청 관계자는 "앞으로 중구는 희귀수종에 대해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연구하여 종다양성 보존에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안전도시과 600-4531   더보기

의정

제250회 중구의회 임시회 개회 제250회 중구의회 임시회 개회 중구의회는 3월 21일부터 27일까지 7일간의 일정으로 제250회 임시회를 개회한다. 3월 21일 제1차 본회의에서는 회기결정 등 안건처리와 5분 자유발언이 있었으며, 3월 26일은 상임위원회를 열어 △부산광역시 중구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부산광역시 중구 기반시설 특별회계 설치 및 운영 조례 폐지조례안 △부산광역시 중구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구청제출 조례안 등 6건을 심사한다. 마지막 날인 3월 27일 제2차 본회의에서는 상임위원회에서 심사한 6건의 조례안을 심의·의결하고 폐회한다. 중구의회 의장은 개회사에서 "봄철 해빙기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철저한 현장점검과 4월 결산검사는 제7대 의회의 마지막 결산검사인 만큼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