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HEADLINE
추석선물,재래시장 더 실속있다
추석선물,재래시장 더 실속있다 추석대목 재래시장 10∼50% 공동세일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석을 앞두고 재래시장 상품권이 발행되어 시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추석이 다가오면서 명절 선물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재래시장 상품권은 좋은 선물이 될 듯하다.  `부산재래시장 상품권'은 5,000원권 40만장과 1만원권 10만장인 30억원 규모로 발행된다. 지난 13일부터 12개 참여시장 인근 및 구청 근처에 있는 부산은행 23개 지점에서 동시판매에 들어갔다. 구입한 상품권은 액면가의 80%를 사용하면 잔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상품권을 취급하는 시장은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신동아시장 부산진시장 남문시장 평화시장 부전시장 서면종합시장 동래시장 자유시장 남천해변시장 부산새벽시장 등이다.  우리구는 재래시장 상권활성화를 위해 상품권 구입을 독려하고 각종 행사와 포상 및 상장 수여시 재래시장 상품권을 부상으로 활용한다. 또 이웃주민과 각종 단체에 재래시장 상품권 이용을 권장하고 불우이웃 위문시 등에 상품권을 지급해 재래시장 살리기에 나선다.  상품권 활성화를 위해 5% 할인행사를 펼치거나 사은품 증정 등 다양한 특판 이벤트를 실시해 재래시장 상품권의 활성화를 꾀한다.  재래시장 살리기의 일환으로 추석 대목을 맞아 재래시장이 공동세일에 들어간다.  오는 26일부터 10월 5일까지 10일간 대형시장과 특화 전문시장은 물론 참여를 희망하는 시장에서 10∼50%까지 자율적으로 세일을 한다.  부평시장을 비롯한 우리구 재래시장 상인들은 추석 대목을 맞아 신선하고 질좋은 제수용품을 가득 마련하고 손님맞이에 정성을 기울이고 있다.

제 360호

2006년 09월 (최종편집시간 : 2006.09.25)

열린구정

주민등록번호 부정사용 안돼요!
주민등록번호 부정사용 안돼요!  주민등록번호를 단순 도용하는 경우에도 처벌토록 하는 개정 주민등록법이 지난 3월 24일 개정 공포되어 9월 25일부터 시행된다.  이전까지는 주민등록번호를 부정사용해도 재물이나 재산상의 이익을 위한 경우에만 처벌을 받아왔으나 개정법이 시행됨에 따라 주민등록번호를 단순히 도용하는 경우에도 처벌을 받게 된다. 단 전입신고 등 주민등록법에 의한 각종신고를 세대주가 직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배우자나 직계혈족에게 위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세대주의 위임을 받아 신고하는 배우자나 직계혈족은 해당 신고서에 세대주의 서명이나 날인을 받고, 세대주의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명서를 제시하면 된다.  주민등록번호 부정사용으로 처벌받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를 자기 또는 다른 사람의 재물이나 재산상의 이익을 위하여 부정사용하는 행위 △다른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를 단순히 도용하여 인터넷 회원으로 가입하는 행위 △수집 목적을 구체적으로 고지하지 않고 주민번호를 수집하는 행위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시 고지한 목적 외로 이용하는 행위 △수집 목적달성 후에도 주민등록번호를 파기하지 않고 보관하는 행위 등이 해당된다.  주민등록법률 및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개정 주민등록법 제21조제2항제9호)에 의해 부정 사용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더보기

종합

"어린이들,가스안전 공부해요" 가스안전포스터 경진대회 개최  우리구와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산지역본부는 어릴 때부터 가스에 대한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지난 8월부터 어린이 가스안전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가스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작은 부주의로 인해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어 어릴 때부터 가스안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어린이집, 유치원을 직접 방문하여 가스안전 만화비디오인 `아기돼지 삼남매'를 상영하여 가스에 대한 위험성과 안전한 사용법, 가스누출시 대처요령 등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  현재까지 큰별 어린이집 등 9개소 어린이 521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 가스안전공사는 가스안전의식 함양과 더불어 저축정신을 고양하기 위하여 가스안전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에게 귀여운 돼지저금통을 나눠주었다.  어린이집에서는 교육내용을 토대로 자체 포스터경진대회를 개최하는 등 아이들에게 가스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우리구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지속적으로 어린이집, 유치원을 대상으로 가스안전교실을 마련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