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HEADLINE
중구 새해 예산 1,331억 확정
중구 새해 예산 1,331억 확정 구민 맞춤형 복지 확대 대청 큰마루터 기상사업 등 지역 현안사업 집중 추진  중구 새해 살림살이 규모가 지난해 1,222억 5천 8백만 원보다 8.9% 증가한 1,331억 4,700만 원으로 확정됐다.  새해에는 구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분야와 대청 큰마루터 기상사업 등 현안사업 분야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전체예산 중 일반회계는 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국·시비 보조금 등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8.7% 증가한 1,158억 6,900만 원이 편성됐다. 특별회계는 지난해보다 10.3%가 증가한 172억 7,800만 원으로 구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투입된다.  일반회계 예산의 경우 세입예산 중 자체수입인 지방세수입은 등록면허세와 주민세 등의 증가로 193억 8,100만 원, 세외수입 57억 3,900만 원, 의존재원 지방교부세 41억, 조정교부금 등이 268억 2,200만 원, 보조금 529억 2,700만 원, 보전수입 등 69억을 편성했다. 전체예산 중 자체수입 비중을 나타내는 재정자립도는 21.7%로 타구에 비해 건전한 상태이다. 추진사업 마무리 역점  새해 세출예산은 현재 추진 중에 있는 사업의 마무리에 역점을 두고 재원을 투자해 매몰비용 최소화와 투자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했다.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사회복지분야가 452억 6,900만 원으로 전체 세출예산의 3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낊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 96억 1,300만 원(8.3%) 낊일반공공행정분야 72억 6,400만 원(6.3%) 낊환경보호 분야 51억 7,300만 원(4.5%) 낊산업 중소기업분야 31억 6,200만 원(2.7%) 낊보건분야(2%) 등으로 재원을 분배했다.  구민이 행복한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보조사업으로 낊기초연금 158억 낊생계급여 68억 1,900만 원 낊노인일자리 15억 1,200만 원 낊영유아보육료 28억 5,200만 원 등을 편성했다.  특히 낊대청 큰마루터 기상사업 38억 4,400만 원 낊원도심 국가임시수도 상징거리 사업 26억 3,600만 원 낊국제시장, 신천지시장 등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28억 8,400만 원 등 중구 현안사업에 집중 편성했다.  자체사업 201억 1,000만 원으로 낊쓰레기수거 민간위탁수수료 32억 3,400만 원 낊하수시설 정비 및 준설 7억 낊영주동 대영로 등 도로정비 3억 5,000만 원 낊미준공 도시계획시설 해소 4억 5,000만 원 낊CCTV통합관제센터 운영 1억 9,900만 원 등 주민편익 및 재해예방사업과 법정필요경비에 예산을 책정했다. 주차장 확충, 주민 자립 지원  특별회계 세출예산은 낊의료보호기금 2억 2,700만 원 낊주민소득지원 및 생활안정기금 11억 7,200만 원, 낊주거환경개선사업 5억 100만 원 낊주차장 151억 400만 원 낊지하수관리 2억 2,600만 원 낊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4,800만 원이 반영되어 저소득 주민의 자립자활 지원, 주거환경개선, 주차장 확충 등에 쓰인다.  특정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기금 운용액은 총 29억 1,700만 원으로 낊사회복지기금 9억 6,800만 원 낊양성평등기금 3억 1,700만 원 낊식품진흥기금 1억 8,800만 원 낊재난관리기금 12억 1,900만 원 낊옥외광고물정비기금 2억 2,500만 원이 확정됐다. 문의 ▶기획감사실 600-4022

제 471호

2015년 12월 (최종편집시간 : 2015.12.25)

열린구정

부산 최초 `착한거리' 지정 선포
부산 최초 `착한거리' 지정 선포 매달 1만 원∼3만 원씩 정기기부  억척스럽게만 알고 있는 중구 자갈치 아지매들이 좋은 일 하는데 두 팔을 걷고 나섰다.  중구는 부산을 대표하는 수산물시장인 자갈치시장의 자갈밭상인회 거리가 부산 최초의 `착한거리'로 지정됐다고 12월 2일 밝혔다.  자갈밭상인회는 12월 4일 오전 11시 상인회 사무실에서 중구청장과 이정윤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처장, 상인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착한거리 지정 선포식을 개최했다.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인 `착한거리'는 나눔이 있는 거리 조성과 기부문화 정착을 위해 매출액 일부를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착한가게'를 발굴, 거리 내 50% 이상이 착한가게에 가입한 거리이다.  이번 중구 자갈밭상인회 거리는 가게 53개소 중 56%인 30개소가 매출액 일부를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착한가게'에 가입했다. 이들 가게는 매달 1만 원에서 3만 원씩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기부한다. 모인 후원금은 중구 복지사업인 `행복수놓기 사업'을 통해 어려운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복지사업으로 쓰인다.  자갈밭상인회 박옥희 회장은 "앞으로도 자갈밭상인회뿐만 아니라 예부터 이어져 온 자갈치시장의 나눔정신이 이 지역의 새로운 기부문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구 착한가게는 자갈밭상인회 착한거리 30곳을 포함하여 모두 62개소에 이른다. ◆ 중구 자갈밭상인회 착한거리 ▲부산명물횟집 ▲대구횟집 ▲산청산꼼장어 ▲수덕산꼼장어 ▲제일꼼장어 ▲자갈치슈퍼 ▲광진꼼장어 ▲광진상회 ▲명성수산 ▲괴정고래 ▲포항상회 ▲하동남해꼼장어 ▲바다실비횟집 ▲30년전통원조할매꼼장어 ▲복진고래고기 ▲하동집 ▲거제복국 ▲세양상회 ▲대어 ▲삼익상사 ▲자갈치왕고래 ▲미정횟집 ▲똘이상회 ▲7.7수산 ▲부산숯불곰장어 ▲엄마손곰장어 ▲홍가네양곱창 ▲노다지금방 ▲충남꼼장어 ▲남해횟집 (가입순) ◆ 중구 착한가게 ▲경주상회 ▲고향산천 ▲구포집 ▲금강스파 ▲남포쭈꾸미 ▲㈜내일투어부산지사 ▲동명당약국 ▲동화반점 ▲부산족발 ▲산동관 ▲서현직 ▲시장약국 ▲어가초밥 ▲엄마손밥상 ▲여의주장어 ▲원조서울삼계탕 ▲원조한양족발 ▲웰컴치과 ▲일신약국 ▲중앙모밀 ▲중앙약국 ▲청진동해장국 ▲코끼리내과 ▲코오롱스포츠남포점 ▲파리바게뜨부평점 ▲파리바게뜨부평중앙점 ▲한성족발 ▲한우뭉치 ▲한일공사 ▲홍조침구 ▲황태를벗삼아 ▲후에버 (2015년 가나다순) 문의 ▶주민복지과 600-4342
더보기

종합

부산데파트, 청년창업 1번지 부산데파트, 청년창업 1번지 아트 프리마켓, 공연 상설화  청년상인들이 중구 `부산데파트'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2월 23일 부산데파트 앞에서 청년점포 15곳의 입점식이 열렸다. 선물 모양의 거리 일루미네이션도 눈길을 끌었다. 크리스마스인 25일까지 3일간 무료 체험과 야외 프리마켓, 공연, 이벤트 등이 선보인다.  부산데파트 광복로 쪽 거리에서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시범적으로 매주 1회씩 마케팅과 홍보를 위해 50매대마다 각양각색의 물품을 아트 프리마켓 형태로 운영하고 음악회 등의 공연도 펼친다.  청년상인 창업지원사업은 전통시장의 빈 점포를 활용해 39세 이하 청년창업가를 지원한다. 국비 3억 2,500만 원이 투입되며, 전국 20개 지원 시장 중 부산에서는 부산데파트(지하 1층·지상 7층)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입주 청년들은 임차, 인테리어, 홍보·마케팅 비용 등 매장 당 2,0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을 받는다. 이들은 데파트 1층 핸드메이드 선물존과 아트 상품 선물존, 2층 관광·여행 상품존, 체험존을 운영한다. 입점 가게들은 모락모락, 희원공방, 꽃을담은마루, 젤리공방 등 젊은 감성이 돋보이는 이름을 내걸었다.  1969년 부산 최초의 백화점식 상가로 문을 연 데파트는 `선물 1번지'이자 관광명소였으나 부산시청 이전 등으로 상권이 쇠락했다. 현재 고서화, 골동품이 주 업종으로 60대 이상 상인이 40%를 넘는다.  구청 관계자는 "데파트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수공예품과 작가들의 팬시제품인 `선물'을 주력 상품으로 했으며, 청년상인의 유입으로 침체된 상가가 다시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문의 ▶경제진흥과 600-4475 더보기

의정

2015년 행정사무감사 실시 2015년 행정사무감사 실시  중구의회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위원장 금동욱)는 11월 30일부터 12월 8일까지 9일간의 일정으로 2015년 행정사무감사를 펼쳤다.  위원회는 중구청과 중구 보건소, 대청동, 보수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주민센터에 대해 구민을 대표하여 구청의 행정사무 전반적인 업무처리과정에서 나타난 잘못된 부분은 건의 또는 시정을 요구하는 등 구민이 바라는 행정과 복리증진 시책이 적극 추진될 수 있도록 감사를 실시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