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서비스헌장제란
행정서비스의 개념은?
행정기관이 제공하는 행정서비스의 기준 및 내용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절차와 방법 그리고,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 및 보상조치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공표하고 이의 실천을 국민에게 약속하는 제도이다.
외국의 행정서비스제도
- 행정서비스헌장제란 90년대 초부터 선진국에서 서비스의 질적향상 및 정부개혁 정책수단으로 도입한 제도로 국가마다 명칭을 각각 달리 사용하고 있다.
- 영국 (91) : 시민헌장(Citizens Charter) Service First(98)
- 미국 (93) : 고객서비스기준(Customer Service Standards)
- 프랑스(92) : 행정서비스헌장(Public Service Standards)
- 캐나다(90) : 서비스기준안(Service Standards)
- 기타 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龍 (NICS)중 싱가포르와 홍콩도 기존의 행정서비스 전달
- 체계를 고객인 국민중심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함
- 우리나라(98) : 대통령훈령 제 70호로 『행정서비스헌장제(Public Service Charter)』지침 발령
행정서비스헌장제의 도입배경
- 고객의 입장에서 행정서비스 제공
- 행정서비스 제공체제의 개선을 통한 행정서비스의 품질 향상
- 행정서비스 품질 향상
-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의 공표 및 이행으로 행정서비스 질 제고
- 행정기관에 대한 국민신뢰제고
- 행정서비스 제공과정에서 국민참여 활성화로 고객우선주의 구현
행정서비스헌장 마크는?

자연(꽃과 새)과 조화되어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 국민의 모습
행정기관의 행정서비스 개선의 결과로 자연(꽃과 새)과 조화되어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 국민의 모습으로서,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갖도록 노력하고 준비하는 행정기관의 의지와 행정서비스에 대한행정기관의 책무를 강조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총무과
- 연락처 : 051-600-4111
- 최종수정일 : 201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