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물현황
- 40계단
- 기찻길
- 바닷길
- 기타시설물
40계단
40계단은 1950년 6·25 피난시절 교통·행정의 중심지였던 부산중구에 위치하여 많은 피난민들이 그 주위에 판잣집을 짓고 밀집해서 살았었고 바로 앞 부두에서 들어오는구호물자를 내다 파는 장터로, 그리고 피난 중 헤어진 가족들의 상봉 장소로 유명했던, 피난살이의 애환을 상징하던 곳으로 1951년 박재홍이 부른 “경상도아가씨”라는 곡의 소재로도 사용되는 등 당시 영주동 뒷산, 동광동, 보수동 일대에 흩어져 살았던 10만이 넘는 피난민들에게는 가장 친근한 장소였다.

기찻길
부산역전 대화재 전의 옛 부산역(현 중앙동 무역회관자리)을 상징하기 위해 기찻길이라는 주제로 40계단 앞쪽으로 40계단광장과 건널목광장을 설치하고 거리를 조성하였으며 총길이는 140m이다
시설물
레일 모양을 본뜬 볼라드
철도레일과 신호기

바닷길
피난민을 실어 나르던 부산항을 상징하기위해 바닷길이라는 주제로 40계단 문화관 앞쪽으로 소라계단과 선착장 광장을 설치하고 거리를 조성하였으며 총길이는 120m이다.
시설물
닻 모양을 본뜬 볼라드

기타시설물
상징게이트 “평화의 문” “평화의 문”은 기찻길 입구에 위치하며, 피난시절 주로 사용하던 작은 등불이 고난의 세월을 견디며 영원히 꺼지지 않는 평화의 등불이 되어 40계단문화관광테마거리를 밝게 비춘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조형물
아코디언 켜는 사람 40계단 중앙에 위치. 힘든 생활 속에도 낭만을 간직했던 거리의 악사를 표현하였으며 센서와 음향장치를 설치하여 관광객이 스쳐갈 시 50년대의 경음악이 연주되어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뻥튀기 아저씨 기찻길에 위치하며 먹을거리가 많지 않았던 시절 펑! 소리와 함께 뽀얀 연기, 구수한 냄새를 풍기던 뻥튀기 모습을 표현한다.
어머님의 마음 피난시절의 힘든 생활속에도 희생과 사랑으로 자식을 키우시던 어머니를 표현한다.
물동이 진 아이 어려웠던 시절 어린 나이에도 집안일을 도우며 착하게 자라던 어린이를 표현한다.
아버지의 휴식 가족을 위해 힘든 노동을 하면서 지쳐, 잠시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 아버지를 표현한다.
MBC 상징 조형물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방송 전파가 발송되었던 자리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목전주 옛 거리의 느낌을 나타내도록 나무로 전주를 만들어 설치하였고 테마거리를 생동감 있는 장소로 만들고자 목전주 위에 까치와 까치집을 설치하였으며, 중구가 영화산업의 중심지임을 알리는 5-60년대의 영화포스터를 부착하였다
관광안내판 테마거리 바닷길 입구에 40계단문화관광테마거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관광안내판을 설치하여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한전수전함 테마거리 바닷길 내 보도에 위치하여 미관을 해치고 있는 수전함에 1910년대 영도대교, 경전차, 부산역 전경을 새긴 동판을 설치하여 거리주제에 어울리도록 하였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화관광과
- 연락처 : 051-600-4044
- 최종수정일 : 20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