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복지 구민이 주인되는 행복도시 중구

  • 맞춤형복지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부산지역 사회서비스 이용절차

1. 서비스 신청

  • 신청 및 접수: 신분증과 구비서류(서비스별 확인)를 지참하여 주민등록지 주민센터 방문
  • 신청기간 : 2021.1.28.(목)~ 2.5.(금)
    ※ 접수기간 외에 접수 불가, 단 대기자 없을 시 구군 예산범위 내에서 추가접수 가능
  • 신청자 : 이용자, 보호자, 친족 및 그밖의 관계인(위임장 지참)

2. 이용자 선정

사회보장급여 결정 통지서 : 시·군·구에서 주소지로 배송

3. 서비스 계약

제공기관 선택 후 방문

  • 통지서 및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로 기관 확인(www.socialservice.or.kr)
  • 부산지역사회서비스 홈페이지(www.ssbn.or.kr)를 통해 기관 정보 검색
    ※ 등록된 제공기관에서만 서비스 가능

4. 국민행복카드(바우처)수령

  • 국민행복카드 신청 후 수령
  • 희망e든 카드 기 소지자는 기존카드 이용 가능

5. 본인부담금 사전납부

서비스 가격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모든 서비스)

6. 서비스 이용

7. 서비스 종료

서비스 지원기간 만료 시 자동종료

서비스 이용

사업명,정부지원금(천원),본인부담금(천원),출생연도 (만나이),소득,우선순위에 관한 표 입니다.
사업명 정부지원금(천원) 본인부담금(천원) 출생연도 (만나이) 소득 우선순위
동화야 놀~자 (스토리텔링) 44~64 10~30
(3~7) 2014~2018(포함) 출생 아동
기준 중위소득 150%이하
  1. 한부모
  2. 다문화
  3. 맞벌이
  4. 연령 (고연령 순 : 만7세~3세)
해양역사 문화체험 아카데미 110~135 15~40 (7~15) 2006~2014(포함) 출생자  또는 초등 재학생~ 중학 재학생 기준 중위소득 150%이하
  1. 한부모
  2. 조손세대
  3. 다문화
  4. 다자녀 (3인이상)
  5. 맞벌이
  6. 연령 (고연령순 : 만15세~만7세)
아동건강 관리서비스 57~75 10~28 (5~12) 2009~2016(포함) 출생자 제한없음
  1. 의사소견서(발달지연)
  2. 비만율 높은 순
  3. 저체중 심각수준
  4. 체성분 분석결과 표준범위 외의 자
아동청소년 심리치유 서비스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108~162 18~162 (18) 2003(포함)이후 출생자 제한없음
  1. 공공전달체계(드림스타트, 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자
  2. 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특수교사, 특수반교사 포함)
  3. 위클래스 교사 추천자
  4. 아동보호종합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추천자
  5. 한부모, 아동시설 입소자, 대안학교 재학생
  6. 의사소견서, 의료기록(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등), 임상심리사 소견서
  7. 청소년상담사 및 언어재활사 소견서
아동 정서발달 지원서비스 120~160 20~90 (4~13) 2008~2017(포함) 출생자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1. 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
  2. 위클래스 센터, 스쿨 추천자
  3. 한부모
  4. 아동시설 입소자, 대안학교 재학생
  5. 임상심리사 소견서
  6. 청소년상담사 소견서
  7. 유아교육기관장 및 어린이집원장 추천자
  8. 고연령 순 (만13세~14세)
 ※우선순위의 경우 영어유치원, 놀이학교 등의 사설 유아·시설 이용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이용자로 간주
뇌에 기(氣)가 팍팍 132~152 8~28 (65) 1956(포함) 이전 출생자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1. 1인가구
  2. 의료기관 추천, 정신건강복지센터, 광역치매센터, 치매안심센터 추천 등 공공전달체계 추천
  3. 노부부(부부 중 1인이 만80세 이상인 경우)
  4. 임상심리사 추천
  5. 장애등록자
  6. 연령(고연령 순)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144 16(수급자:8) (60) 1961(포함) 이전 출생자 [장애인 경우 연령무관, 의료급여 연계자 (55) 1966(포함) 이전 출생자]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1. 구군 통합사례관리사 추천자, 읍면동 케어안내창구 추천자
  2. 의료급여사례관리사 추천자
  3. 국가유공자
  4. M코드
  5. G, I코드
  6. R81, E10~15
  7. 장애인(파킨스씨병 환자 포함)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내나이가 어때서) 64~108 10(수급자:5)~12(수급자:6) (65) 1956(포함) 이전 출생자 [의료급여 연계자 (55) 1966(포함) 이전 출생자]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1. 1인가구
  2. 의료급여 사례관리사 연계자
  3. 신체질환자(의사 및 병원 진단·소견·진료확인)
  4. 노인체력 측정 검사결과 이상자
  5. 체성분 측정 검사결과 이상자
 ※3순위 신체실환자는 관절,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 우선적용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504~648 72~216 (24) 1997(포함) 이후 출생자 제한없음
  1. 장애등급 순(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정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순)
  2. 소득수준(저소득 순)
자녀의 성공을 돕는 부모 코칭 (키울 Mom 난다!) 1. 100~126 2. 100~126 1. 14~120
2. 14~200
제한없음 제한없음
  1. 한부모
  2. 조손세대(가정위탁부모 포함)
  3. 예비부모
  4. 미취학자녀 고연령 순
  5. 취학자녀 저연령 순

가구특성 및 구비서류

사업명,가구특성,구비서류에 관한 표 입니다.
사업명 가구특성 구비서류
아동건강 관리서비스
  • 1. 과체중아동(비만도 120% 이상) 또는 저체중아동(비만도 85% 이하)
  • 2. 연령 대비 표준 몸무게 및 표준 키 미달자로 발달 지연에 대한 의사소견이 있는 자
  • 3. 체성분 분석결과 표준범위 외의 자
  • ※ 중복이용불가 :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바우처
  • 1. 의료기관, 보건소,학교보건교사의 비만도 확인자료(키, 몸무게 확인)
  • 2. 의사소견서 ※ 해당기관 직인 필요
  • 3. 체성분 검사결과지
아동청소년 심리치유 서비스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발달지원 및 문제행동
1-1. 발달 지연 관련 의사소견서 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의료기록 등이 있는 경우
1-2.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10백분위(%)이내인 자
2-1. 문제행동(ADHD) 관련 의사소견서 + 검사결과지
2-2. 문제행동 관련 의료기록 + 검사결과지
3-1. 드림스타트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아동보호종합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추천하는 아동
3-2. 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특수교사, 특수반교사 포함), Wee클래스·센터·스쿨에서 추천하는 아동
3-3. 유아교육기관장·어린이집원장이 추천하는 아동 + 검사결과지
4. 공공기관·병원·일반기관에서 근로하는 임상심리사·청소년상담사·언어재활사 소견서 + 검사결과지 
 
1-1. 의사소견서 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의료기록(발달지연)
1-2.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10백분위 이내
2-1. 문제행동(ADHD) 관련 의사소견서 + 검사결과지
2-2. 문제행동 관련 의료기록 + 검사결과지
3-1. 드림스타트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아동보호종합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발급한 추천서
3-2. 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특수교사, 특수반교사 포함), Wee클래스·센터·스쿨에서 발급한 추천서
3-3. 유아교육기관장·어린이집원장 추천서 + 검사결과지
4. (공공기관·병원·일반기관) 임상심리사·청소년상담사·언어재활사 소견서(+자격증 사본) + 검사결과지
아동 정서발달 지원서비스
  • 1. 해당기관에서 근로하는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소견서
    2.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특수교사, 특수반교사 포함), Wee클래스·센터·스쿨에서 추천하는 아동
    3. 유아교육기관장·어린이집원장이 추천하는 아동
    4. 효과성 검사(부산시 지침 참조)결과 절단점 이상인 아동
 
  • 1.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소견서(+자격증 사본)
    2. 학교담임교사, 학교복지사, 학교상담교사(특수교사, 특수반교사 포함), Wee클래스·센터·스쿨에서 발급한 추천서
    3.유아교육기관장·어린이집원장 추천서
    4. 검사결과지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 1-1.만60세 이상인 자로서 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 질환이 있음을 입증하는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 또는 처방전 또는 진료확인서등 (질병분류코드 G,M,I 및 R81,E10~15) 제출자
  • 1-2.“국가유공자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자(연령무관)로서 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 질환이 있음을 입증하는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 또는 처방전 또는 진료확인서 등 (질병분류코드 G,M,I 및 R81,E10~15) 제출자
  • 2. 지체 및 뇌병변 등록장애인(장애인등록증(장애인증명서 포함) 제출, 연령무관)
  • 3. 구군 통합사례관리사 추천자, 읍면동 케어안내창구 추천자, 의료급여사례관리사 추천자
 
  • 1-1. 의사진단서(한의원가능) 또는 소견서 또는 처방전 또는 진료확인서 등
  • 1-2. 국가유공자증 또는 확인서와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 또는 처방전 또는 진료확인서
  • 2.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등록증(장애인증명서 포함)
  • 3. 추천서(통합사례관리사 추천자, 케어안내창구 추천자, 의료급여사례관리사)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내나이가 어때서)
  • 1. 보건소 노인체력측정 3개부문(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검사결과 평균 4등급 이상인 자 또는 표준범위외의 자
  • 2. 신체건강 등에 의학적 이상소견이 있는 자(의사 진단서, 소견서, 진료확인서)
  • 3. 체성분검사(보건소, 건강보험공단, 마을건강센터, 일반기관 모두 포함) 또는 기초체력검사 결과 표준범위 외의 자
  • 4. 의료급여 사례관리사 추천자→구군담당자
  • 1. 보건소 노인체력측정검사 결과지
  • 2. 의사 진단서,소견서, 진료확인서
  • 3. 체성분검사결과지,기초체력검사결과지
  • 4. 의료급여 사례관리사 추천자
  • 담당부서 : 복지정책과 
  • 연락처 : 051-600-4341
  • 최종수정일 : 2021-09-17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