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구민이 주인되는 행복도시 중구
총게시물 : 4건 / 페이지 : 1/1
- 추억이 넘실대는 광복동 고갈비 골목 주경업의 중구이야기 35 - 골목이야기 1 한국동란 후 한순돌 씨 식구 미화당 뒷골목에 국수 팔며 시작 정영기 씨 `남마담집' 고갈비 70, 80년대 이르러 골목 `성황' "우리네 골목에는 아련한 추억이 고여 있다. 오랜 세월이 켜켜이 쌓이면서, 그 속에 쟁여져 있던 삶의 애환과 그 시절 기억의 조각들이 사금파리 앉은 햇빛처럼 반짝인다." (시인 최원준) 아파트와 아파트를 싸고도는 길을 골목이라 부르지 않는다. 그 길에는 우리가 친숙했던 바자울도 없고 돌담도 사립문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골목길에 지천으로 피어 있던 맨드라미와 채송화, 봉숭아도 없다. 그런 메마른 아파트 길에는 구슬치기 할 아이들도 숨바꼭질 할 아이들도 모두 영어학원엘 가고 피아노 교습 받으러 가서 동네 개구쟁이들은 그림자 구경마저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아파트촌을 벗어나면 더러는 모양새가 바뀌었어도 골목길이 남아 있다. 이른바 도시골목이다. 아스팔트로 매끈하게 다듬어 자동찻길로 함께 쓰는 골목이 있는가 하면, 시멘트를 덕지덕지 발라 진개장(쓰레기를 버리는 곳)을 겨우 면한 골목도 있다. 그 골목을 찾아가보자. 부산의 원도심 한복판에 `고갈비 골목'이 있다. 용두산 남단 언덕바지로서 광복로와 연결되는 골목에 고갈비를 구워 파는 가게들이 모여 있어 고갈비 골목이라 했다. 한국동란 이후 경주에서 온 한순돌(88세) 씨 여덟 식구가 미화당(지금의 ABC마트) 뒷골목에 루핑지붕의 판잣집을 얻어 막걸리와 국수를 팔기 시작한 것으로부터 이 골목의 역사는 시작한다. 60년대에 할매집 옆에 노총각 정영기 씨가 막걸리집을 열어 자갈치시장에서 싸게 구입해 온 고등어를 굽어내기 시작하면서 이 술안주 `고갈비'는 급속도로 번져 골목을 고갈비 골목으로 만든다. 노총각 정영기 씨의 말과 행동거지가 여성스럽다고 손님들이 남마담(남자마담)이라 부른 것이 `남마담집'이 되었다. 이즈음 고갈비 골목은 용돈이 궁한 대학생들과 할 일 없는 젊은이들이 주고객이었으므로 비싼 안주는 생각지도 못했다. 남마담집에서 시작한 고갈비는 할매집에서 할매손맛으로 주당을 끌어들였다. 딸 순돌 씨는 입이 거세어서 동네에서 `욕쟁이', `양칠'이란 별명을 달고 살았다. 60년대부터 번져나간 고갈비는 70, 80년대에 이르러 성황을 이룬다. 광복동 야시장이 활기 띌 때는 할매집, 남마담집을 비롯하여 담배집, 돌고래, 청기와집, 맘보, 고바우, 불갈비, 갈박사, 단골집, 청코너, 홍코너 등 12집이 성행하여 저녁이 되면 골목이 고갈비 굽는 연기와 냄새로 가득 찼었다. 누나집 건물에서 영업하던 남마담 정영기 씨가 결혼하면서 74년 이 일대를 잘아는 조한규 씨가 인수하여 부인(임순애, 71세)이 경영을 맡아 지금에 이르고 있고, 할매집은 아들 박성하(58세) 부부가 맡았다. 그 시절 호주머니 사정이 바닥인 젊은이들에게 고갈비는 인기 짱이었다. 돼지갈비는 뜯지 못해도 고등어를 발라 구운 안주는 탁주와 소주 안주에 제격이었다. 주당들은 탁주를 `야쿠르트'라 부르고, 소주는 `이순신꼬냑'이라 불렀다. 깍두기는 `못잊어', 얇은 무가 동동 뜨는 물김치는 `파인애플', 물은 `개구리운동장', `오리방석'이라 부르면서 멋을 부렸다. 주인에게 그냥 막걸리 달라면 들은 체 만 체 했었다, 아침나절 문 열면 해장한다고 들이닥쳤고, 저녁이면 무슨 무슨 모임 한다면서 떼거리로 몰려와 양 집의 2층 다락을 채우고 그것도 모자라 길거리에 난장을 폈다. 용두산 돌계단 길을 내려온 가난한 연인들도 그 한쪽에서 사랑을 키웠다. 지금에야 옛이야기로 들리지만 그땐 그래도 그런 낭만이 넘치는 골목이었다. 문의 ▶부산민학회 255-5424
- 마음의 자락 - 환하다 김해경 바다 속 따개비 따개비 속 게, 꼬시래기 한 마리 꼬시래기 두 마리, 바위틈 홍합 성게 불가사리 얼씨구! 어느 틈에 하늘까지 한 자리 이러다 숨겨진 마음까지 한 자리 바다가 환한 날 부산 출생. 2004년 계간 `시의 나라' 등단. 시집 `아버지의 호두', `메리네 연탄가게' 2014년 문화예술위원회 우수도서 선정. 현재 문화공간 `수이재' 운영위원. 바다 속에는, 바다의 다양한 생물들이 서로의 몸을 기대고 오순도순 살아가고 있다. `따개비, 따개비 속 게, 꼬시래기, 홍합, 성게, 불가사리' 등등이… 돌 틈, 조류 속, 일렁이는 파도를 따라 착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 바다 속 생명들의 `함께하는 세상'을 들여다보면, 인간도 세상의 순리에 맞춰 살아가야 함을 배우게 된다. 개인의 욕심을 버리고 공동체 삶을 존중할 때, 우리 세상 또한 바다 속처럼 환한 나날을 살아갈 수 있겠다. 다가오는 새해는 지나간 날보다 더욱 행복하고 아름다운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한 해 동안 힘들고 수고로웠던 착한 사람들, 새해에는 모두 복 많이 받으시길∼ 최원준 시인
- 이달의 추천도서 브릿마리 여기 있다 배크만의 최신작 `『브릿마리 여기 있다』'는 낙후된 지역에 찾아온 두 번째 기회, 그리고 새로운 사랑의 기회를 발견하는 내용을 담은 너무도 매력적인 작품이다.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다산책방/14,800원 매일밤 당신에게 필요한 이야기 중국판 트위터 웨이신 300만 팔로워가 선택한 업로드 후 1시간 내 10만 명이 구독하는 공감 에세이! 잠들기 전 남녀노소 모두에게 필요한 가슴 훈훈한 이야기! 스탕쥔 지음/북플라자/15,500원 자료제공:남포문고
-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축제 문화센터 개관 첫 행사 "함께 놀자" 산복도로 이야기 인형극 문화적 장소재생 특강도 색종이공예, 조각보 전시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는 12월 13일부터 29일까지 제1회 생활문화축제를 개최한다.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축제는 올해 7월 20일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를 개관하고 처음 열리는 행사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각자 따로 배웠지만 성과는 여럿과 나누자는 취지인 "함께 놀자"를 주제로 축제가 펼쳐진다. 문화·예술 동호회 및 단체들이 한 해 동안 학습한 내용들을 공유하고 뽐낸다. 12월 13일 오후 2시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에서 우쿨렐레 수강생들의 공연을 시작으로, 18일 관내 학생들이 할머니, 할아버지들에게서 전해들은 `산복도로 이야기'를 다룬 창작 인형극을 선보여 큰 박수를 받았다.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문화적 장소재생과 낙원의 조건을 주제로 두 차례의 특강도 14일, 15일 오후 3시에 열렸다. 또 12월 29일까지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 6층 다목적실에서는 색종이 공예, 프랑스 자수, 조각보 등 7개 분야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한다. 문의 ▶문화관광과 600-4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