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축하금 지원 |
- 기 간 : 2020년 ~ 계속
- 대 상 : 신청일 현재 중구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임신부(임신 확인 시부터 분만 전까지 신청 가능)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임신축하금 10만원(자녀수에 상관 없이 지원)
|
보건소
(600-4783)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의 구성원으로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조기진통, 분만 관련 출혈, 중증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 조기박리, 전치태반, 절박유산,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분만 전 출혈, 자궁경부무력증, 고혈압, 다태임신, 당뇨병,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 과다구토, 신질환, 심부전, 자궁 내 성장 제한,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받은 자
- 지원내용 :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입원 치료비의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 90% 지원 ※ 1인당 300만원 범위
|
보건소
(600-4783)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중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부부로서 난임 시술 의사 진단서 제출자(국민건강보험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 지원 불가)
- 지원내용
- 접수일 현재 난임여성의 연령이 만 44세 이하인 경우
- 1회당 50만원 범위(체외 수정<신선배아 1~4회, 동결배아 1~3회>, 인공 수정 1~3회)
- 1회당 40만원 범위(체외 수정<신선배아 5~7회, 동결배아 4~5회>, 인공 수정 4~5회)
- 접수일 현재 난임여성의 연령이 만 45세 이상인 경우
- 1회당 40만원 범위(체외 수정<신선배아 1~7회, 동결배아 1~5회>, 인공 수정 1~5회)
|
보건소
(600-4783)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미숙아 : 출생 후 24시간 내 긴급한 수술 또는 치료가 필요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 선천성 이상아 : 출생 후 28일 이내 의료기관에서 질병코드가 Q로 시작하는 선천성 이상으로 진단받고 출생 후 6개월 이내 선천성 이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입원하여 수술한 환아
- 지원내용 : 진료비 영수증에 기재된 의료비의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100만원까지 전액, 100만원 초과 90%) 지원
- 미숙아 : 출생 시 체중에 따라 1인당 최대 300만원 ~ 1,000만원
- 선천성 이상아 : 최대 500만원
|
보건소
(600-4783) |
출산장려금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출산일 및 출산장려금 지원신청일 현재 중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영아의 부 또는 모 (단, 지원기간 중 전출, 재전입 시 지원불가)
- 신청시기 :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지원내용
- 첫째자녀 : 30만원 지급(2021.12.31. 이전 출생아는 20만원)
- 둘째자녀 : 60만원 지급(매월, 20만원x3회)
- 셋째이상 : 300만원 지급(매월, 30만원x10회)
|
가족행복과 (600-4355) |
임신부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엽산제 지원 : 임신 12주 이전 보건소 등록 임신부
- 철분제 지원 : 임신 16주 이후 보건소 등록 임신부
- 지원내용
- 엽산제 지원 : 임신 12주까지 지원
- 철분제 지원 : 임신 16주부터 최대 6개월분 지원
|
보건소
(600-4783) |
결혼 이주여성 등록 관리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관내 결혼 이주여성 및 그 가족
- 지원내용 : 보건소 등록 시 기념품 증정
|
보건소
(600-4783) |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만 12세 이하의 영유아(어린이)
- 지원내용 : 결핵, B형 간염, 파상풍, 백일해, 홍역, 풍진, 수두, 일본뇌염, 인플루엔자, 뇌수막염 등 백신 17종 무료 예방접종
|
보건소
(600-4831) |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
- 기 간 : 연중
- 대 상
-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의 신생아
- 환아 관리 :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 진단받은 만 18세 미만의 환아
- 지원내용
-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 선별·확진 검사비 지원
- 환아 관리 : 특수 조제분유 및 의료비 지원
|
보건소
(600-4783) |
신생아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의 신생아
- 지원내용
- 선별·확진 검사비 지원
- 검사결과 난청으로 확진받은 만 2세 미만의 영유아에 한해 보청기 지원
|
보건소
(600-4783)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저귀 지원 :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자격 보유가구의 영아
- 조제분유 지원 : 기저귀 지원대상 중 모유 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 지원내용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보건소
(600-4783) |
산모·신생아 건강 관리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출산가정
-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 관리를 위한 가정 방문 도우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차등 이용권 제공
|
보건소
(600-4783) |
영유아 발달 장애 정밀 검사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당해년도 영유아 건강 검진대상자 중 국민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50% 이하인 자로서 영유아 건강 검진결과 발달 평가에서 심화 평가 권고로 평가된 대상
- 지원내용 : 정밀검사비 지원(20만원 한도)
|
보건소
(600-4783) |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만 18세 이하의 청소년 산모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120만원 범위
|
보건소
(600-4783) |
신혼 여성 및 초기 임신부 무료 건강 검진 |
- 기 간 : 연중
- 대 상
- 신혼 여성 : 결혼 예정 ~ 결혼 1년 이내
- 초기 임신부 : 임신 12주 이내
- 지원내용 : 빈혈 5종, 소변 4종, B형간염 항원·항체, 매독, 에이즈, 풍진 무료 건강 검진
|
보건소
(600-4783) |
임산부 출산교실 운영 |
- 기 간 : 매년 자체계획 수립 후 시행
- 대 상 : 보건소 등록 임산부
- 지원내용 : 태교, 산전·후 몸조리, 모유 수유 등 교육
|
보건소
(600-4783) |
아기튼튼 마사지교실 운영 |
- 기 간 : 매년 자체계획 수립 후 시행
- 대 상 : 4개월 ~ 7개월 영아 및 어머니
- 지원내용 : 아기 마사지 등 교육
|
보건소
(600-4783) |
임산부·영유아 영양플러스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가구로 영양 위험요인(빈혈, 저체중, 저신장, 다태아 임신·출산 등) 보유의 임산부 및 66개월 미만의 영유아
- 지원내용
- 영양 교육 및 상담
- 분유, 쌀, 달걀, 감자 등 대상 구분별 보충식품 패키지 제공
- 영양 평가 : 신체 계측, 빈혈 검사, 식품 섭취 조사
|
보건소
(600-4498) |
임신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 |
- 기 간 : 10월 ~ 익년도 4월
- 대 상 : 임신부
- 지원내용 :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 전국 위탁 의료기관에서 시행
|
보건소
(600-4831) |
임산부 및 다자녀가정 여권 무료 등기 서비스 |
- 기 간 : 연중
- 대 상 : 관내 임산부 및 다자녀가정
- 지원내용 : 여권 교부일(접수일 기준 4일차, 주말·공휴일 제외) 등기 발송
|
민원봉사과
(600-4614)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1~6급의 등록한 여성장애인 중 출산 및 유산·사산한 자
- 지원내용 : 출산(유산·사산 포함) 시 태아 1인 기준 1백만원
|
생활보장과
(600-4331) |
출산지원금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부산광역시에 둘째 이상 자녀 출산가정
- 부 또는 모와 두 자녀 이상이 모두 자녀 출생신고일 현재 부산광역시 같은 주민등록지에 등재 및 거주하여야 함
- 신청시기 : 출생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지원금액 : 100만원(2022.1.1. 이후 출생아만 해당)
*2021.12.31. 이전 출생아는 종전 지원금액을 일시급 지급
|
가족행복과
(600-4355) |
첫만남이용권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2022.1.1. 이후 출생한 아동
- 지원내용 : 200만원 상당 전자바우처 지급(국민행복카드)
|
가족행복과
(600-4355)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 기 간 : 연중
- 대 상 : 임산부라면 누구나
- 지원내용 : 국민행복카드로 60만원 ~ 100만원 지원
|
국민건강
보험공단
각 지사 |